<p></p><br /><br />Q. 여랑여랑 시작합니다. 이민찬 기자 함께 합니다. 첫 번째 주제, '다시 나선 호위무사' 누구의 호위무사인가요? <br> <br>바로 문재인 대통령입니다. <br><br>Q. 윤석열 검찰총장의 업무 복귀로 문재인 대통령이 정치적으로 위기를 맞았다고 본 걸까요. 여권에서 호위무사를 자처하네요? <br> <br>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6개월 만에 SNS에 글을 올렸는데요. <br><br>"대통령께서 외롭지 않도록 할 일을 찾겠다"며 정계 복귀 가능성을 시사했는데요. <br> <br>김두관 민주당 의원은 "검찰을 개혁하지 않고는 대통령의 안전도 보장할 수 없다"고 했습니다. <br><br>Q. 그런데 검찰개혁에 총대를 맸던 추미애 장관을 보는 시선은 좀 다른거 같아요? <br> <br>추 장관은 윤 총장과의 갈등 전에도 아들 군 휴가 특혜 의혹 등이 논란이 됐었는데요. <br> <br>그 때 마다 여당 의원들은 추 장관을 적극 옹호했었죠. <br><br>[추미애 / 법무부 장관 (지난 7월)]<br>소설을 쓰시네. 질문도 질문 같은 질문을 하세요. <br> <br>[김남국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지난 7월)] <br>그렇게 질문하는 사람이 어딨습니까! <br>적절하지 않은 질문이지 않습니까? <br> <br>[윤한홍 / 국민의힘 의원 (지난 7월)]<br>우리 김 의원님은 뭐 하는 분이에요. 여기서? <br>법무부 직원입니까? (법무부 직원 아닙니다.) <br>장관 비서실장이에요? (국회의원입니다.) 추미애 장관 비서실장입니까? <br><br>[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(지난 1일)] <br>검찰총장 직무대리까지 나서서 법무부 장관을 향해 <br>검사의 마음을 얻어라, 한발 물러나 달라고 하고 있습니다. <br>검사들의 이런 선택적 정의 눈물겹습니다. <br> <br>이들 의원들은 이번에는 사법부과 검찰을 비판할 뿐 추 장관 관련 언급은 자제하고 있죠. <br><br>오히려 민주당 일각에선 내년 4월 보궐선거 영향 등을 우려해 "추미애 장관 교체가 불가피하다"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습니다.<br> <br>'조국 사태' 때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냈던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도 강력한 '부동산 대책'만 주문할 뿐 윤 총장 직무복귀와 정경심 교수 구속 등에 대해선 침묵했습니다. <br><br>Q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'누구를 위한 모금?' 정경심 교수 변호사 비용을 모금하자는 얘기가 여권 지지자들 사이에서 나왔어요? <br> <br>한 온라인 게시판에 글이 하나 올라왔습니다. <br> <br>항소심을 준비하는 정 교수를 위해 1인당 1000원 씩, 천만 명을 모아 100억원을 준비하자는 건데요. <br> <br>이 돈으로 100명의 변호인단을 꾸려 정 교수의 무죄를 이끌어내자는 겁니다. <br><br>Q. 구체적인 모금 계획도 밝혔다면서요? <br> <br>정경심 교수 탄원서 쓰기 운동을 했던 목사라고 자신을 소개했는데요. <br> <br>교회로 등록돼 있어 개인에게 모금을 해도 기부금법에 걸리지 않는다며 자신이 총대를 매겠다고 했습니다. <br><br>Q. 지지자들 반응은 어떤가요? <br><br>한 온라인 사이트를 보면요. <br><br>"독립운동은 못해도 조국은 지킨다" <br>"촛불 드는 심정으로 참여한다" <br>"100명 분 기꺼이 내겠다" <br> <br>이런 글들과 함께 참여 의사를 밝히고 있는데요.<br> <br>다른 한편에서는 "후원금을 잘못 모금했다가 꼬투리를 잡힐 수 있다"며 우려도 나타냈습니다. <br><br>Q. 조국 백서를 만들 때도 후원금 모금 때문에 논란이 있었잖아요? <br> <br>지난 1월이죠. 조 전 장관 지지자들은 '조국 사태'를 기록하겠다며 백서추진위를 꾸리고 모금에 나섰는데, 나흘 만에 3억원이 모였습니다. <br> <br>추진위 측은 후원자들에게 책 8400부를 발송했고 나머지 돈 1억원 정도는 소송에 대비하기 위해 남겨뒀다면서도, 영수증 등을 공개 하진 않고 있죠. <br> <br>진중권 전 교수는 조국 흑서를 발간하는데 500만원 밖에 들지 않았다며 후원금 유용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후원은 자유겠지만, 지지자들의 분노를 이용하는 또 다른 의도는 아닌지 따져봐야겠습니다. <br> <br>오늘의 여랑야랑은 '투명하게'로 정해봤습니다. <br><br>Q. 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